PBS PSR PER이란? 주식을 사야할 때_주식 TIP#3 - 4초테크:사회초년생재테크

티스토리 뷰



  PBS PSR PER이란? 주식을 사야할 때_주식 TIP#3



  수익내는 주식투자방법은?


낮은 가격에 사서 높은 가격에 팔기


배당금을 제외한 주식을 통해 수익을 내는 방법을 간단하게 말하면, '낮은 가격에 사서 높은 가격에 파는 것'입니다. 즉 앞으로 주식의 가치가 오를 주식을 사서 판매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기업의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된 주식을 사서 주식의 가격이 올랐을 때 되파는 것입니다.



네이버 금융_투자정보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된 주식을 어떻게 찾을까?


그렇다면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된 주식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이를 재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간단한 지표들이 있습니다. 바로 이번에 설명하려는 PER, PBR, PSR입니다. 그렇다면 이 지표들로 어떻게 저평가된 주식을 찾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 방법: PER, PBS, PSR


PBR_주당순자산비율


PBR(Price Book value Ratio)


PBR는 주당순자산비율부채를 제외한 자산, 즉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을 더한 순자산에 비해 현재의 주가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통해 해당 주식의 안정성을 나타냅니다. 이런 PBR 지표를 보는 방법은 PBR이 1보다 높냐, 낮냐를 통해 해당 가치가 고평가되어있는지, 저평가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PBR 지표가 1 이하일 경우, 순자산의 가치에 비해 1주당 가격이 낮게 책정되어있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SR_주가매출비율

PSR(Price Selling Ratio)


PSR은 주가매출비율주가를 주당 매출액으로 나눈 것입니다. 즉, 하나의 주식이 얼마만큼의 매출을 발생시키는지를 통해 주식의 성장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SR의 경우, 수치가 낮을수록 저평가된 주식으로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ER_주가수익비율


PER(Price Earning Ratio)


PER은 주가수익비율주가를 주당 수익으로 나눈 것입니다. 즉, 하나의 주식이 얼마만큼의 수익을 발생시켰는지를 통해 주식의 성장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도 PSR과 같이 수치가 낮을수록 저평가된 주식으로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업의 경우, 사업, 수익구조 등에 따라 발생한 매출액이 수익으로 전환되는 수익률이 다르기 때문에 PSR보다는 PER이 주가에 더 큰 영향력을 끼칩니다.



기업이 처한 환경, 경쟁사의 변화, 투자자의 심리 변화 등에 따라  위의 PBR, PSR, PER과 관계없이 주가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지표는 주식투자를 할 때 참고만 하시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