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 장기? 어떻게 투자할까?_주식 TIP#5
단기투자 & 장기투자란?
투자성향을 가장 잘 보여주는 투자방법
단기투자와 장기투자의 가장 크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차이는 '기간'입니다. 하나의 종목을 투자를 위해 매수하고 보유하는 시간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단기투자, 장기투자로 나뉘게 됩니다. 그리고 저는 이러한 단기투자와 장기투자가 투자자의 투자성향이 어떤지를 가장 잘 보여주는 투자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단기투자
좀 더 빨리, 좀 더 많이
단기투자를 하는 투자자들의 기본적인 모토는 이렇습니다. '좀 더 빨리, 그리고 좀 더 많이'. 주가가 오를 타이밍에 주식을 매수하여, 주가가 오른 뒤 빠르게 되팔아 차익을 실현하는 것입니다. 즉, 다른 사람들보다 더 빨리 매수하여, 더 많은 차익을 남기는 것이 단기투자의 목표입니다. 이러한 단기투자는 보유하는 기간에 따라 스캘핑(초 단위의 짧은 시간동안 보유 및 매도), 스윙(2~3일동안 보유 및 매도) 등으로 나뉩니다.
단기투자는 짧은 기간동안 보유 및 매도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슈에 민감합니다. 보유를 짧게 하는만큼 특정한 호재가 발생해야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정한 이슈 발생으로 인해 주가가 오를 때 매수 후, 오른 뒤 적절한 타이밍에 매도합니다. 따라서, 단기투자를 주로 하는 경우 정보에 민감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많은 정보를 얻어야 좋습니다.
투자를 하는 모든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짧은 시간 내에 많은 돈을 모으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장기투자
천천히 안전하게 많이
장기투자를 하는 투자자들의 기본적인 모토는 이렇습니다. '조금 늦더라도, 조금 적더라도 안전하게'. 성장가능성이 있거나 배당율이 높은 주식을 매수하여 오랜 기간 보유하며 수익을 얻습니다. 즉, 지금은 주가가 낮고 기업의 이익이 적더라도, 기업의 잠재력을 바탕으로 기업의 미래에 투자하거나,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일류기업들에 투자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기투자의 경우 어차피 오래 보유할 것이기 때문에 작은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습니다. 거래량의 변화와 같이 작은 이슈로의 주가변동은 어차피 금세 제자리를 찾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장기투자는 작은 이슈에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없는 경우에 투자를 많이 하는 편입니다.
주식배당금상위종목을 알아보자_주식 TIP#4 (0) | 2018.07.29 |
---|---|
PBS PSR PER이란? 주식을 사야할 때_주식 TIP#3 (0) | 2018.07.29 |
유상증자란? 무상증자란? 주가영향은_주식 TIP#2 (0) | 2018.07.22 |
주식거래시간_주식 TIP#1 (0) | 2018.07.21 |
4초테크:사회초년생재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