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Adsense 수익 관련 지표 용어 뜻
이 글에서는 구글 애드센스의 여러가지 지표들의 용어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 CTR, 노출 RPM, 페이지 RPM와 같은 기본적인 지표에 대해 이해 및 활용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1. 구글 애드센스 용어 뜻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를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용어 때문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러한 구글 애드센스의 용어를 중심으로 소개해보겠습니다.
2. 주요 지표 용어
구글 애드센스의 주요 지표는 페이지 RPM, 노출 RPM, CTR이 있습니다.
- 페이지 RPM: 예상 수입 / 페이지 조회 수 * 1,000
페이지 RPM을 쉽게 설명하면 블로그 글이 1,000회 조회수가 발생했을 때의 예상 수익입니다.
ex) 페이지 RPM이 $1.20이라면 조회수 1,000회 발생 시 예상 수익이 $1.20 = 페이지 1회 조회 시 $0.0012 - 노출 RPM: 예상 수입 / 광고 노출 수 * 1,000
페이지 RPM과 마찬가지로 광고 노출 1,000회 당 평균 수익입니다.
ex) 노출 RPM $0.20: 광고 노출 1,000회당 수익 $0.20 = 광고 1개 노출당 $0.0002의 수익
페이지 RPM은 페이지 단위로 수익을 가늠할 수 있고, 노출 RPM은 1개의 광고 노출당 수익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한 페이지에 주로 여러 개의 광고가 삽입되어 노출되다보니 페이지 RPM은 노출 RPM보다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페이지 RPM / 노출 RPM을 토대로 페이지에 평균적인 광고 노출수가 어느정도 되는지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페이지 RPM이 $1, 노출 RPM이 $0.2라면 1개의 페이지 당 평균 5개의 광고가 노출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CTR: 광고 클릭수 / 광고 노출수 * 100%
CTR은 Click Through Rate로 광고가 클릭된 비율입니다.
ex) CTR 1%: 광고가 100회 노출될 때 클릭 1회 발생
CTR은 광고가 얼마나 클릭되고 있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구글 광고의 경우, 대부분 광고를 노출하여 특정 제품이나 브랜드를 알리는 것보다는 광고를 클릭하여 광고주의 웹사이트로 유입되기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만큼 CTR이 높을수록 애드센스의 수익 또한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CTR은 애드센스의 보고서에서 상단 연필을 클릭하면 보고서 상에서 추가가 가능합니다.
3. 노출 RPM / 페이지 RPM 활용 방법
페이지 RPM: 콘텐츠의 수익성
페이지 RPM의 경우, 페이지 1회 조회 당 평균 수익으로 블로그를 예시로 보면 내 콘텐츠가 얼마만큼의 수익성을 가지고 있는지 판단하는 데에 좋은 지표입니다. 페이지 RPM이 높을수록 내 콘텐츠들의 수익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다만 페이지 URL별 데이터의 경우, 페이지 URL 기준으로 어느정도 이상의 트래픽이 발생했을 경우에만 확인이 가능하여 블로그에서는 사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노출 RPM: 광고 유형 수익성
노출 RPM은 광고의 1회 노출 당 평균 수익으로 광고 유형/네트워크 등의 특정 광고 유형의 수익성이 얼마나 되는지를 판단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지표입니다. 해당 노출 RPM을 토대로 수익성이 낮은 광고 유형을 삭제하고, 수익성이 높은 광고 유형 위주로 삽입하는 방법으로 애드센스 수익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금융정보 > 금융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생활] 개인연금저축계좌, 유형과 세액공제(절세 혜택) (0) | 2025.03.17 |
---|---|
[금융 생활] 연봉별 세금 구간, 적용 세율 확인하기 (0) | 2025.03.17 |
[금융 생활] CMA 통장이란, 정리부터 CMA 통장 추천 (0) | 2025.03.01 |
[펀드투자_#2] AB미국그로스증권 펀드 4개월차 수익률 (0) | 2019.02.06 |
[펀드투자_#1] AB미국그로스증권 펀드 3개월차 수익률 (0) | 2018.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