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정보/금융생활

[금융 생활] 연봉별 세금 구간, 적용 세율 확인하기

by 마대생 2025. 3. 17.
반응형

 

연봉에 따른 적용 세율 확인하기

이 글에서는 연봉에 따른 세율 확인을 통해 각각의 연봉 구간에서 적용되는 세율 및 누진공제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연봉별 세율 계산법, 얼마나 세금을 내야 할까?

먼저 우리 나라의 근로소득세는 누진세 구조를 따르고 있습니다. 따라서 연봉이 높아질수록 세율이 높아지는 방식이며, 전체 연봉에 동일한 세율이 부과되는 것이 아닌 연봉 구간에 따른 세율이 적용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연봉 구간에 따른 세율을 고려하지 않고 연봉협상을 진행하면 연봉은 오르더라도 세금으로 인해 실 수령액은 오히려 줄어들 수 있어 이러한 연봉 세금 구간에 대해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2. 연봉별 세금 구간

연봉 구간(과세 표준) 소득세율 누진공제액
1,400만원 이하 6% -
1,400만원 ~ 5,000만원 15% 126 만원
5,000만원 ~ 8,800만원 24% 576 만원
8,800만원 ~ 1억 5,000만원 35% 1,749 만원
1억 5,000만원 ~ 3억 원 38% 2,774 만원
3억 원 ~ 5억 원 40% 3,774 만원
5억 원 초과 42% 4,774 만원

 

결론부터 보면, 연봉별 세금 구간에 따라 연봉에 소득세율이 적용되고, 최종적으로 반영된 세금예서 누진공제액을 반영한 금액이 소득세로 계산됩니다. 이 때 누진공제액은 소득세가 발생하는 사람이라면 모두에게 적용된 공제액으로 세금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제금액으로 추가 신청 필요 없이 자동으로 적용되어 세금이 부과됩니다.

 

또한, 소득세의 세금의 경우, 전체 연봉에 특정 세율이 적용되는 것이 아닌 구간별로 세율을 적용하여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연봉이 8,000만원일 경우, 1,400만원까지는 6%, 1,400 ~ 5,000만원까지는 15%, 5,000만원 ~ 8,000만원까지는 24%가 적용된 후, 누진공제액 576 만원을 차감 반영하여 세금이 산정되는 방식입니다.

 

소득세 계산 예시 (연봉 8,000만 원)

  1. 1,400만 원까지 6% 적용 → 1,400만 원 × 6% = 84만 원
  2. 1,400만 원 ~ 5,000만 원까지 15% 적용 → 3,600만 원 × 15% = 540만 원
  3. 5,000만 원 ~ 8,000만 원까지 24% 적용 → 3,000만 원 × 24% = 720만 원

- 총 소득세 = 84만 원 + 540만 원 + 720만 원 = 1,344만 원
- 최종 소득세 = 1,344만 원 - 576만 원(누진공제액 반영) = 768만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