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초년생 신용카드? 체크카드?
Q.
"신용카드를 쓰는게 좋다?"
"아니다. 쓰면 안 좋다?"
일단 제가 알아본 바로는 '쓰는 것이 좋다.'입니다.
이 정보의 출처는 자산관리사로 일하고 있는 친구에게 받은 답변입니다.
이유를 설명해보자면, 앞서 말했듯 신용카드를 사용하면 신용등급을 올릴 수 있습니다.
단, 신용카드를 사용하면서 카드값을 잘 갚았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게다가 사회초년생은 처음 신용카드를 쓰면 돈이 없어도 지출활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카드값의 무서움을 모르고? 자신의 수준을 넘는 지출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카드값을 잘 갚았을 때는 신용등급을 그만큼 올리기 쉽지만, 카드값이 연체될 때는 그만큼 신용등급이 쉽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Q. "그럼 신용카드만 쓰면 좋은거 아냐?"
답은 "아니다".
신용카드는 소득공제 혜택에서는 체크카드보다 공제율이 낮아 불리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신용카드만 사용했을 때는 소득공제 시 더 적은 금액을 공제하게 되겠죠?
정리해보면,
신용카드: 신용등급을 올릴 때 좋다(미래관점)
체크카드: 소득공제 혜택에 좋다 / 공제율이 높다(현재관점)
자신에게 어떤 것이 더 중요한지 판단해보고, 미래에 대출을 받을 때를 위해서라면 신용카드에 더 비중을 두고 그게 아니라면 체크카드에 더 비중을 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Q. "음.. 지금 나한테는 어떤게 더 중요할지 확신이 안 서는데... 그럼 어떡해?"
위와 같은 질문에 자산관리사인 친구는 "교통비만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나머지는 체크카드를 써", "신용등급에 비중을 더 두고 싶다면, 교통비랑 식비정도만 신용카드로 써"라고 답변을 했습니다. 물론 당사자의 재정상태나 바라는 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사회초년생분들을 컨설팅할 때 "교통비만 신용카드, 나머지는 체크카드"가 가장 무난하다고 하더라구요.
나중에 소득이 더 늘어나고, '신용카드의 무서움?'을 알게되면 신용카드 비중을 키워보라구요. 그리고 그러지 않더라도 점점 카드 할부가 생기고 그러면서 신용카드의 비중이 높아진다고 했어요.
2019년 최저임금과 월급은?_금융팁#6 (0) | 2018.07.21 |
---|---|
돈 버는 소비습관 3가지_금융팁#5 (0) | 2018.07.21 |
연말정산과 소득공제란?_금융팁#4 (0) | 2018.07.21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추천_금융팁#3 (0) | 2018.07.21 |
펀드 유형, 펀드 종류 어떤 펀드가 좋을까?_금융팁#2 (0) | 2018.07.21 |
4초테크:사회초년생재테크